Marceau 군함 정보



1939년~1940년 개발된 3,000톤 정찰함 기획을 개량하여 제작되었다. 양용포 주함포와 같은 제2차 세계대전 후기의 무장을 장착하였다.
선행군함
선행 군함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후행군함
후행 군함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소모품 | R |
![]() |
---|---|---|
T |
![]() |
|
Y |
![]() |
평점주기
X
구분 | 이름 | 성능 | 세부 성능 |
---|---|---|---|
생존 | 내구도 | 21900 | |
장갑 | 10-20 mm | ||
함포 | 주함포 | 4x2 127 mm | 재장전 시간 3.5 초 180도 회전 시간 6 초 사거리 11.5 km 최대 분산 범위 101 m 고폭탄 127 mm HE Mark 42 고폭탄 최대 공격력 1850 고폭탄 화재 발생률 7.0 % 고폭탄 초속도 808 m/s 철갑탄 127 mm AP Mark 41 철갑탄 최대 공격력 2450 철갑탄 초속도 808 m/s |
주함포 사거리 | 11.5 km | ||
어뢰 | 어뢰 발사관 | 4x3 550 mm | 재장전 시간 142 초 180도 회전 시간 7.2 초 어뢰 550 mm 23DT 최대 공격력 14833 어뢰 사거리 9 km |
어뢰 사거리 | 9 km | ||
어뢰 속력 | 60 노트 | ||
대공 | 대공포 | 3x4 40 mm | 초당 평균 공격력 47.7 사거리 3.51 km |
대공포 | 4x2 20 mm | 초당 평균 공격력 24.4 사거리 2.01 km |
|
대공포 | 2x2 40 mm | 초당 평균 공격력 22.6 사거리 3.51 km |
|
대공포 | 4x2 127 mm | 초당 평균 공격력 62.8 사거리 5.19 km |
|
기동력 | 최고 속력 | 44 노트 | |
선회 반경 | 740 m | ||
조타 시간 | 4.8 초 | ||
피탐지 | 대함 피탐지 거리 | 8.88 km | |
대공 피탐지 거리 | 4.84 km |
나도 한마디
코멘트(17)
배는 좋은데 개같은 항공전함 때문에 옛날만큼 꿀빨기 쉽지않음 | 2023-06-28답글신고 | |
개인적으로 마르소가 스몰란드 제외하고 대구축전 최강이라고 봅니다. 피탐도 생각보다 나쁘지않고 대공은 좋은편입니다. 어설프게 순양함이나 전함한테 포격하면서 체력낭비하지않고 구축만찾아다니며 잡고 후에 캡먹으면 승률이 보장된 배입니다. 이녀석이 워낙 기동력이 좋고 주포 회전도 빨라서 대구축전에서 거의 선빵치고 시작하기때문에 라그나르 하루구모 상대로도 압도할수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2023-06-11답글신고 | |
다른건 모르겠고, 미션용(일퀘, 조선소 미션 등)으로는 최고다 장점 1. 프랑스 다운 슈퍼카 속력(52노트 이상) 2. 클레베르 대비 우수한 기본 주포 재장전 속도 3. 고각 포 사용으로 섬 뒷샷 날리기 좋음 4. 은신 어뢰 가능 5. 대공도 나름 쓸만함(대공 소모품 존재) 단점 1. 오로지 유저의 손에 의존해야함(수리반 부재) 2. 클레베르 대비 느린 포탄 속도 3. 클레베르 대비 어뢰 장전 시간이 매우 길음(2분) 4. 어뢰 데미지가 낮음 운용법 1. 항상 섬을 끼고 싸운다 2. 상대 구축의 탐지 거리를 이해하고 1vs1이 아닌 이상 아군의 엄호를 받는다(항모 스팟, 레이더 등) 3. 어뢰 쿨타임이 길기때문에 난전 상황에서는 정확한 때에 사용해야함 4. 엔진 부스트 이퀍(석탄)은 필수일 정도로 활용성이 뛰어남 5. 디모인 이하의 순양함은 5-8km 이내에서 철갑 사용시 시타델도 잘 털어옴 (디모인, 우스터, 콜베르, 스몰렝스크, 미노타 등) | 2022-05-14답글신고 | |
실제로 모의 게임으로 하루구모 옆구리 까고 마르소 옆구리 까고 붙어서 때리기 시작하면 근소한 차이로 마르소가 이김~ 해보면 답이 나오는데.. 해보지도 않고... 나불 나불 | 2021-09-04답글신고 | |
이 배는 오로지 속력만 가지고 버텨야 하는 배임. 좋은 배가 아니라는 거 끝까지 살아남거나 적 뒤로 침투하면 무지하게 성가신 존재지만 초반에 캡전하려고 다가가면 미쳐버린 피탐과 큰 선회반경, 약해빠진 약판 대공으로 키타카제만 만나도 쪽을 못쓰고 아사시오 만나도 아사시오가 연막 깔아버리면 걍 적 레이더쉽에게 뒤지게 쳐맞고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항구로 사출될 뿐임. 그러니까 아군이 뭐라고 하건 간에 캡 따윈 무시하고 공해상이나 멀리 나가서 아군 앞에서 놀며 아사시오같은 애들이 오는지 감시하다가 엔부써서 회피탱으로 놀아야 함. 살아남으면 광명찾을 수 있음 고각저속포에 주포장전기도 없어서 화력이 막강하다!라는 느낌은 거의 없음. 주포재장전도 일본포구축에 밀려서 아키츠키만 만나도 끙끙대며 싸워야 함. 10티어인데;; 굳이 이 석탄값 치러가며 살 배는 아님 | 2021-08-29답글신고 | |
일본 2차에 포격 지는건 님 손가락 문젭니다. 얘 클레베르빼고 맞포격전 걸면 다이겨요 | 2021-08-29신고 | |
뜬금없는 하바롭의 대구축전 패배 | 2021-08-29신고 | |
놀랍게도 구축전 1빠는 하바롭이다. | 2021-08-30신고 | |
하바롭이랑 하루구모 상대로 마르소가 이긴다고? ㅋㅋㅋ | 2021-08-30신고 | |
ㄹㅇ 하루구모 하바롭이 구축맞다이 최강자인데 뭔 마르소로 이긴다 만다임 | 2021-09-04신고 | |
하바롭 생각 안한건 죄송하지만 마르소들고 하루구모한테 지면 님들 손가락문제가 맞습니다 | 2021-09-04신고 | |
꼬우면 닉까고 하루구모들고오셈 체력안찍은 마르소들고 개털어줄테니까 | 2021-09-04신고 | |
이녀석을 탈때는 빠르게 항구로 가고 한놈만 조지고간다 ! 라는 마인드로 한놈패다가 다구리맞고 항구로 가면됩니다 대공이 센든 안세고 연막없고 피탐은 높고 강점은 부스터로쓰는 속도뿐 근데 부스터쓰고 달려도 집중포화에 순삭당할뿐 | 2021-04-02답글신고 | |
마르소 타는법 1. 적 구축에 선스팟 당한다 2. 엔부를 켠다음 예상되는 적 구축 위치로 달려간다 3. 적 구축을 발견하여 DPM으로 찢어버린다 4. 적이 연막안으로 들어가면 따라들어가서 강제스팟한 후 찢어버린다 | 2021-02-15답글신고 | |
적 구축만 있을때 추천방법이라고 써 주세요~ 시작한지 얼마 안되서 저 방법 썼다간 순양함들한테 순삭당함 | 2021-02-28신고 | |
아아 5번을 안썻군요 5. 이제 적 순양의 집중포화를 맞고 빠르게 항구로 간다 | 2021-02-28신고 | |
모든 구축들 중에 고폭 dpm이 가장 높고 속도도 가장 빠르지만, 수리반이나 연막이 없고 포가 매우 고각이라는 극단적인 특성을 가진 배입니다. 그래서 마르소를 제외한 프구축은 보통 하바롭에 근접하게 플레이하지만, 마르소는 위의 특성을 이용해 캡존 근처에서 구축함을 암살하고 그 근방의 섬 뒤에서 보조사격을 해주는 식으로 플레이합니다. 비유하자면, 클레베르는 외곽에서 어그로+보조딜을 하는 아웃복서 스타일이고, 마르소는 빠른 속력과 압도적인 포격성능을 이용해 캡 교전에 최대한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인파이터 스타일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되겠네요. 리스크가 워낙 큰 스타일이라 그렇지, 객관적인 성능은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최근 랭전에서도 나쁘지 않은 성적을 보여줬고요. 하지만 하바롭이나 클레베르같은 회피탱 구축을 운용할 생각으로 마르소를 사신다면 후회하실 확률이 높습니다. 주포를 콜베르의 주포를 쓰는데, 이게 장거리에서 매우 고각이라 클레베르처럼 사거리를 올리기엔 힘들고, 그렇다고 근거리에서 그냥 싸우기엔 생존 소모품의 부재가 너무 크게 작용하여 대순양,전함전이 힘든 배입니다. 혹시나 그런 생각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구매 전에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2020-10-07답글신고 | |
|
이전 1 다음
마르소는 무기고에서 236,000 석탄으로 구입할 수 있는 프랑스 구축함이다. 정규 구축 트리와 마찬가지로 빠른 속도와 큰 피탐지를 지니고 있어 일반적인 구축함의 역할을 수행하기가 힘들다. 또한, 주포가 클레베르의 139mm 연장포가 아니라 미구축이 사용하는 127mm 구경으로 교체되어 재장전 속도가 3.5초로 대폭 상승했다. 반대로 주포 재장전 부스터가 제거되었기에 클레베르의 막강한 포격 능력을 기대하고 싸움을 걸다가는 큰 코 다칠 수 있다. 어뢰 역시 9km의 사거리와 낮은 피해량으로 큰 피해를 기대할 수 없다. 기본적으로 프랑스식 구축함 운영을 따라야 하지만, 달라진 주포 성능으로 좀 더 대구축전에 포인트를 둔 함선이다.